조합원 김찬휘쌤의 <생명이 먼저다> 뉴스 컬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34회 작성일 19-11-08 16:41본문
http://www.newspim.com/news/view/20191108001030
매년 11월의 둘째 목요일은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이하 수능)을 보는 날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수많은 학생이 수능시험에 도전할 것이다. 단 한 번의 시험에 모든 것이 결정된다는 심리적 압박감은 학생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지수를 올리는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학의 서열화가 견고한 우리 사회에서 수능 실패는 학생들에게 상당한 상실감을 안겨 줄 뿐만 아니라 어쩌면 이 사회에서 도태당할 수 있다는 공포감마저도 조성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매년 수능 시험이 끝나고 난 후 안타깝기 그지없는 뉴스를 접하곤 한다. 수험 기간을 끝낸 해방감을 맛보기도 전에, 수능 성적에 좌절하여 스스로 꽃 같은 목숨을 버리는 학생들의 소식을 들을 때마다 착잡한 마음이 든다. 매년 비슷한 시기에 들려오는 뉴스이지만 좀체 익숙해지지 않고 또 그래서도 안 되겠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며, 그 외에도 많은 학생이 자살을 진지하게 고민한 적이 있다고 한다. 자살의 원인 또한 학업성적이 독보적 1위라니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강요된 학습의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수능을 계층 이동의 유일한 통로라고 주입하는 태도 또한 '수능 자살'의 심각한 공범이다. 대학의 서열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는 사상 주입을 받아온 학생들에게 수능 실패는 곧 '인생 실패'를 의미한다. 수능 점수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다시 응시할 기회가 얼마든지 있고, 반드시 대학으로 인생 전체가 결정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세뇌교육은 생각보다 힘이 세다. 학생들은 두 번째 기회까지 생각할 여력이 없을 수도 있다. 설마. 저 잘되라고 한 소리인데 그렇게까지 생각할까 하겠지만 채 스물이 안 된 학생들에게는 충분히 두려운 협박이라 할 수 있겠다. 제아무리 대범한 학생이라고 해도 이토록 경쟁이 치열한 사회에서 수능 앞에 담담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이쯤에서 수험생들에게 꼭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 지난 365일을 갈아 넣다시피 한 수험생활은 수능 성적과 관계없이 충분히 가치 있는 시간이었으며 그 시간은 앞으로의 삶에 비옥한 거름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다. 수험 생활이 아니었던들 그토록 인내하며 한 목표로 달려올 수 있었겠는가. 어느 목표든 결과를 통해서만 인정받는 것은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다.
등산을 예를 들어보자. 뜻하지 않게 발목을 다쳐 정상에 오르지 못한 산행일지라도 새소리, 먼 산 풍경, 자신과의 내밀한 대화 등등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무수히 많다. 삶은 어떤 목표지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는 연결선에 있는 다양한 의미를 만나는 과정이다.
생명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사람이 살아서 숨 쉬고 활동할 수 있게 하는 힘'이라고 나온다. 대단한 일을 도모하더라도 생명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자신을 숨 쉬고 활동할 수 있는 힘이 바탕이 되지 않는다면 명문대학도 명예도 의미가 없다. 누구나 좌절을 느낄 수 있지만 좌절 속에 자신을 잃지는 말자. 혼자 힘으로 어렵다면 친구든 누구에게든 손을 내밀어 도움을 청하도록 하자.
<나니아 연대기>의 저자인 C.S. 루이스는 '우리가 지나온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좋은 일들이 있다 (There are far, far better things ahead than anything we leave behind)'라고 말했다. 아직 우리에게 가장 좋은 시간이 남아 있다는 얘기이다.
나니아 연대기의 그 장엄한 모험이 시작되는 첫 문장은 다음과 같다. "옷장 안에 무엇이 있는데요?" 아쉬운 수능 점수가 인생의 오점이라고 생각한다면 한 번만 더 생각해보자. 사실은 옷장 문고리를 잡다가 실수로 놓쳤을 뿐이라고.
언제든 새로운 기회가 있다고 말이다. 그 옷장 문을 열면 나니아 연대기보다 몇 배로 위대한 모험과 전혀 몰랐던 새로운 세계가 기다리고 있음을 생각해보라. 인생은 때때로 숨 막히게 아름다운 순간을 선물한다. 어쩌면 오늘은 곧 다가올 빛의 작은 그림자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김찬휘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부소장(민주열사박종철기념사업회 이사, 디지털대성 대성마이맥 입시센터장)
매년 11월의 둘째 목요일은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이하 수능)을 보는 날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수많은 학생이 수능시험에 도전할 것이다. 단 한 번의 시험에 모든 것이 결정된다는 심리적 압박감은 학생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지수를 올리는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학의 서열화가 견고한 우리 사회에서 수능 실패는 학생들에게 상당한 상실감을 안겨 줄 뿐만 아니라 어쩌면 이 사회에서 도태당할 수 있다는 공포감마저도 조성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매년 수능 시험이 끝나고 난 후 안타깝기 그지없는 뉴스를 접하곤 한다. 수험 기간을 끝낸 해방감을 맛보기도 전에, 수능 성적에 좌절하여 스스로 꽃 같은 목숨을 버리는 학생들의 소식을 들을 때마다 착잡한 마음이 든다. 매년 비슷한 시기에 들려오는 뉴스이지만 좀체 익숙해지지 않고 또 그래서도 안 되겠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며, 그 외에도 많은 학생이 자살을 진지하게 고민한 적이 있다고 한다. 자살의 원인 또한 학업성적이 독보적 1위라니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강요된 학습의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수능을 계층 이동의 유일한 통로라고 주입하는 태도 또한 '수능 자살'의 심각한 공범이다. 대학의 서열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는 사상 주입을 받아온 학생들에게 수능 실패는 곧 '인생 실패'를 의미한다. 수능 점수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다시 응시할 기회가 얼마든지 있고, 반드시 대학으로 인생 전체가 결정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세뇌교육은 생각보다 힘이 세다. 학생들은 두 번째 기회까지 생각할 여력이 없을 수도 있다. 설마. 저 잘되라고 한 소리인데 그렇게까지 생각할까 하겠지만 채 스물이 안 된 학생들에게는 충분히 두려운 협박이라 할 수 있겠다. 제아무리 대범한 학생이라고 해도 이토록 경쟁이 치열한 사회에서 수능 앞에 담담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이쯤에서 수험생들에게 꼭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 지난 365일을 갈아 넣다시피 한 수험생활은 수능 성적과 관계없이 충분히 가치 있는 시간이었으며 그 시간은 앞으로의 삶에 비옥한 거름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이다. 수험 생활이 아니었던들 그토록 인내하며 한 목표로 달려올 수 있었겠는가. 어느 목표든 결과를 통해서만 인정받는 것은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다.
등산을 예를 들어보자. 뜻하지 않게 발목을 다쳐 정상에 오르지 못한 산행일지라도 새소리, 먼 산 풍경, 자신과의 내밀한 대화 등등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들은 무수히 많다. 삶은 어떤 목표지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는 연결선에 있는 다양한 의미를 만나는 과정이다.
생명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사람이 살아서 숨 쉬고 활동할 수 있게 하는 힘'이라고 나온다. 대단한 일을 도모하더라도 생명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자신을 숨 쉬고 활동할 수 있는 힘이 바탕이 되지 않는다면 명문대학도 명예도 의미가 없다. 누구나 좌절을 느낄 수 있지만 좌절 속에 자신을 잃지는 말자. 혼자 힘으로 어렵다면 친구든 누구에게든 손을 내밀어 도움을 청하도록 하자.
<나니아 연대기>의 저자인 C.S. 루이스는 '우리가 지나온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좋은 일들이 있다 (There are far, far better things ahead than anything we leave behind)'라고 말했다. 아직 우리에게 가장 좋은 시간이 남아 있다는 얘기이다.
나니아 연대기의 그 장엄한 모험이 시작되는 첫 문장은 다음과 같다. "옷장 안에 무엇이 있는데요?" 아쉬운 수능 점수가 인생의 오점이라고 생각한다면 한 번만 더 생각해보자. 사실은 옷장 문고리를 잡다가 실수로 놓쳤을 뿐이라고.
언제든 새로운 기회가 있다고 말이다. 그 옷장 문을 열면 나니아 연대기보다 몇 배로 위대한 모험과 전혀 몰랐던 새로운 세계가 기다리고 있음을 생각해보라. 인생은 때때로 숨 막히게 아름다운 순간을 선물한다. 어쩌면 오늘은 곧 다가올 빛의 작은 그림자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김찬휘 정치경제연구소 대안 부소장(민주열사박종철기념사업회 이사, 디지털대성 대성마이맥 입시센터장)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