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2회 셀수스 영화제 대상작품 "I wanna be" (감독: 서채원) Winner of t…
페이지 정보

본문
셀수스조합이 주최하는 셀수스영화제에서
지난 해 '용산의 맛'(부산국제영화제 상영)에 이어 올해에는
서채원 감독이 연출한 "I wanna be"를 제2회 셀수스영화제 대상작품으로 선정함
[아래는 보도기사]
한국에서 캘리포니아까지, 그리고 세계로: 《I WANNA BE》의 여정
미국 캘리포니아, 낯선 땅에서 타자기와 메가폰을 든 두 명의 한국인 창작자가 있다. 영화 감독 서채원과 시나리오 작가 강유진. 언어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환경에서도,
두 사람은 인간의 보편적 감정과 진실된 삶의 이야기에 대한 감각을 믿고 힘을 합쳤다.
그들의 두 번째 국제 공동 프로젝트 단편 영화《I WANNA BE》는 그 공감의 결실이자, 세계를 향한 본격적인 도전의 시작이다.
꿈을 향한 충돌과 연대의 서사
단편 영화 《I WANNA BE》는 뉴욕으로 대학 진학을 꿈꾸는 재미교포 시각장애인 육상 선수 ‘우리’가 천방지축 새로운 가이드 러너 ‘롤라’를 만나면서
겪는 갈등과 협력, 그리고 성장을 다룬 이야기다. 장애를 가진 개인의 자립적 서사를 선입견 없이 바라보면서도,
낯선 타인과의 관계에서 생겨나는 미묘한 감정의 흐름을 섬세하게 포착한 작품이다.
영화는 단순한 휴먼 드라마를 넘어, ‘나 답게 살고 싶다(I wanna be)’라는 모든 이들의 보편적 열망을 시각적 언어로 구현한다.
촬영은 전미 장애인 스포츠 커뮤니티의 활동 무대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에서 이뤄졌으며, 몰입감 높은 달리기 시퀀스와 인물 중심의 밀도 높은 심리 묘사가 극의 핵심을 이룬다.
현장 조사부터 감정의 설계까지
《I WANNA BE》의 제작 과정은 그 자체로 창작자의 책임감을 보여준다.
서채원과 강유진은 시각장애 아동 교육기관을 방문해 시각장애 당사자와 인터뷰를 진행했고,
비영리 단체 Achilles International의 행사에 자원 가이드 러너로 참여하며 훈련과 체험을 병행했다.
실재하는 감정의 결을 화면에 옮기기 위해, 이들은 다큐멘터리적인 접근과 서사적 깊이를 함께 가져갔다.
현재 이 작품은 선 댄스 영화제(Sundance), 밴쿠버국제영화제(VIFF) 를 포함한 다수의 세계적인 영화제에 출품되어 심사를 기다리고 있으며,
공식 상영을 위한 배리어 프리 자막 및 음성 해설 버전도 제작 중에 있다.
따로 또 함께, 한국 여성 창작자의 글로벌 행보
서채원 감독은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를 졸업하고, 섬세하고 유쾌한 여성 서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단편을 연출해왔다.
대표작으로는 학교 안팎 청소년의 고민과 위로를 담은《한 번 사는 인생》, 짝사랑의 뒷면을 다룬 《Unrequited》, 워킹 맘의 고충을 다룬《Best Mom Ever》 등이 있다.
특히 그녀는 3,8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그룹 뉴진스의 공식 뮤직비디오의 연출부, 부산국제영화제 수상작 독립 장편 영화 《비닐 하우스》의 연출부, 백상 예술대상
다수 수상작 디즈니 플러스 시리즈 《무빙》의 연출 지원 등 상업과 예술을 아우르는 영상 연출에 강한 조예를 보이고 있다.
강유진 작가 또한 ‘정체성’이라는 테마를 축으로, K-POP과 글로벌 콘텐츠 전반을 아우르며 활동하고 있다. 뉴진스, NCT, 미야오 등 다수 K-POP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
서사를 기획했고, 미국 숏폼 플랫폼에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판매하며 글로벌 진출의 저변을 넓혔다.
또한 구독자 400만 명을 보유한 유튜브 팟캐스트 시리즈의 대본을 집필하며 대중성과 서사력을 동시에 증명했고,
각기 다른 플랫폼에서 문화적 경계와 개인의 내면을 탐색하는 이야기로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From Korea to California, and to the World: The Journey of 《I WANNA BE》
In the unfamiliar land of California, USA, two Korean creators stand with a typewriter and a megaphone—film director Chaewon Seo and screenwriter Yujin Kang. Despite the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the two have joined forces, trusting in the universal emotions of humanity and the truth of life stories.
Their second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hort film, 《I WANNA BE》, is both the fruit of this empathy and the beginning of a full-fledged challenge to the world.
A Story of Collision and Solidarity Toward Dreams
The short film 《I WANNA BE》 follows the journey of “Woori,” a Korean-American visually impaired track athlete who dreams of attending university in New York. Her life changes when she meets the chaotic new guide runner, “Lola.” Through conflict, cooperation, and growth, the story unfolds.
The film portrays the independent narrative of a person with a disability without prejudice while delicately capturing the subtle emotional currents that arise in relationships with strangers. It transcends a simple human drama to visually express the universal desire of everyone to “live true to myself (I wanna be).”
Filmed in California, one of the main activity hubs for the disabled sports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the movie features immersive running sequences and intense psychological portrayals centered on the characters.
From Field Research to Emotional Design
The production process of 《I WANNA BE》 itself reflects the creators’ sense of responsibility.
Director Seo Chaewon and writer Kang Yujin visited institutions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They also volunteered as guide runners at events hosted by the non-profit organization Achilles International, combining training with real-life experience.
In order to translate the textures of genuine emotions onto the screen, they employed both documentary-style approaches and deep narrative structure.
Currently, the film has been submitted to numerous world-renowned film festivals, including Sundance and the Vancouv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VIFF), and is awaiting judgment. Versions with barrier-free subtitles and audio descriptions are also being prepared for official screenings.
Together and Apart: The Global Journey of Korean Female Creators
Director Seo Chaewon, a graduate of Sungkyunkwan University’s Department of Film and Visual Arts, has directed a variety of short films focusing on delicate and cheerful female narratives. Her notable works include 《Only Live Once》, which captures the concerns and solace of teenager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Unrequited》, which explores the flip side of a one-sided love; and 《Best Mom Ever》, which depicts the struggles of working moms.
She has also shown deep expertise in both commercial and artistic video production, having worked in the directing team of NewJeans’ official music videos (which garnered over 38 million views), the award-winning independent feature 《Plastic House》 at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Disney+’s acclaimed series 《Moving》, which won multiple Baeksang Arts Awards.
Writer Kang Yujin, revolving around the theme of “identity,” has worked across K-POP and global content. She has planned the narratives for music videos of major K-POP artists including NewJeans, NCT, and Miyao, and expanded her global presence by selling original scripts to U.S. short-form platforms.
In addition, she has proven both popularity and narrative power by scripting for a YouTube podcast series with 4 million subscribers, drawing empathy by exploring cultural boundaries and personal identity across various platforms.
지난 해 '용산의 맛'(부산국제영화제 상영)에 이어 올해에는
서채원 감독이 연출한 "I wanna be"를 제2회 셀수스영화제 대상작품으로 선정함
[아래는 보도기사]
한국에서 캘리포니아까지, 그리고 세계로: 《I WANNA BE》의 여정
미국 캘리포니아, 낯선 땅에서 타자기와 메가폰을 든 두 명의 한국인 창작자가 있다. 영화 감독 서채원과 시나리오 작가 강유진. 언어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환경에서도,
두 사람은 인간의 보편적 감정과 진실된 삶의 이야기에 대한 감각을 믿고 힘을 합쳤다.
그들의 두 번째 국제 공동 프로젝트 단편 영화《I WANNA BE》는 그 공감의 결실이자, 세계를 향한 본격적인 도전의 시작이다.
꿈을 향한 충돌과 연대의 서사
단편 영화 《I WANNA BE》는 뉴욕으로 대학 진학을 꿈꾸는 재미교포 시각장애인 육상 선수 ‘우리’가 천방지축 새로운 가이드 러너 ‘롤라’를 만나면서
겪는 갈등과 협력, 그리고 성장을 다룬 이야기다. 장애를 가진 개인의 자립적 서사를 선입견 없이 바라보면서도,
낯선 타인과의 관계에서 생겨나는 미묘한 감정의 흐름을 섬세하게 포착한 작품이다.
영화는 단순한 휴먼 드라마를 넘어, ‘나 답게 살고 싶다(I wanna be)’라는 모든 이들의 보편적 열망을 시각적 언어로 구현한다.
촬영은 전미 장애인 스포츠 커뮤니티의 활동 무대 중 하나인 캘리포니아에서 이뤄졌으며, 몰입감 높은 달리기 시퀀스와 인물 중심의 밀도 높은 심리 묘사가 극의 핵심을 이룬다.
현장 조사부터 감정의 설계까지
《I WANNA BE》의 제작 과정은 그 자체로 창작자의 책임감을 보여준다.
서채원과 강유진은 시각장애 아동 교육기관을 방문해 시각장애 당사자와 인터뷰를 진행했고,
비영리 단체 Achilles International의 행사에 자원 가이드 러너로 참여하며 훈련과 체험을 병행했다.
실재하는 감정의 결을 화면에 옮기기 위해, 이들은 다큐멘터리적인 접근과 서사적 깊이를 함께 가져갔다.
현재 이 작품은 선 댄스 영화제(Sundance), 밴쿠버국제영화제(VIFF) 를 포함한 다수의 세계적인 영화제에 출품되어 심사를 기다리고 있으며,
공식 상영을 위한 배리어 프리 자막 및 음성 해설 버전도 제작 중에 있다.
따로 또 함께, 한국 여성 창작자의 글로벌 행보
서채원 감독은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를 졸업하고, 섬세하고 유쾌한 여성 서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단편을 연출해왔다.
대표작으로는 학교 안팎 청소년의 고민과 위로를 담은《한 번 사는 인생》, 짝사랑의 뒷면을 다룬 《Unrequited》, 워킹 맘의 고충을 다룬《Best Mom Ever》 등이 있다.
특히 그녀는 3,8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그룹 뉴진스의 공식 뮤직비디오의 연출부, 부산국제영화제 수상작 독립 장편 영화 《비닐 하우스》의 연출부, 백상 예술대상
다수 수상작 디즈니 플러스 시리즈 《무빙》의 연출 지원 등 상업과 예술을 아우르는 영상 연출에 강한 조예를 보이고 있다.
강유진 작가 또한 ‘정체성’이라는 테마를 축으로, K-POP과 글로벌 콘텐츠 전반을 아우르며 활동하고 있다. 뉴진스, NCT, 미야오 등 다수 K-POP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
서사를 기획했고, 미국 숏폼 플랫폼에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판매하며 글로벌 진출의 저변을 넓혔다.
또한 구독자 400만 명을 보유한 유튜브 팟캐스트 시리즈의 대본을 집필하며 대중성과 서사력을 동시에 증명했고,
각기 다른 플랫폼에서 문화적 경계와 개인의 내면을 탐색하는 이야기로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다.
From Korea to California, and to the World: The Journey of 《I WANNA BE》
In the unfamiliar land of California, USA, two Korean creators stand with a typewriter and a megaphone—film director Chaewon Seo and screenwriter Yujin Kang. Despite the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the two have joined forces, trusting in the universal emotions of humanity and the truth of life stories.
Their second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hort film, 《I WANNA BE》, is both the fruit of this empathy and the beginning of a full-fledged challenge to the world.
A Story of Collision and Solidarity Toward Dreams
The short film 《I WANNA BE》 follows the journey of “Woori,” a Korean-American visually impaired track athlete who dreams of attending university in New York. Her life changes when she meets the chaotic new guide runner, “Lola.” Through conflict, cooperation, and growth, the story unfolds.
The film portrays the independent narrative of a person with a disability without prejudice while delicately capturing the subtle emotional currents that arise in relationships with strangers. It transcends a simple human drama to visually express the universal desire of everyone to “live true to myself (I wanna be).”
Filmed in California, one of the main activity hubs for the disabled sports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the movie features immersive running sequences and intense psychological portrayals centered on the characters.
From Field Research to Emotional Design
The production process of 《I WANNA BE》 itself reflects the creators’ sense of responsibility.
Director Seo Chaewon and writer Kang Yujin visited institutions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individuals with visual disabilities. They also volunteered as guide runners at events hosted by the non-profit organization Achilles International, combining training with real-life experience.
In order to translate the textures of genuine emotions onto the screen, they employed both documentary-style approaches and deep narrative structure.
Currently, the film has been submitted to numerous world-renowned film festivals, including Sundance and the Vancouv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VIFF), and is awaiting judgment. Versions with barrier-free subtitles and audio descriptions are also being prepared for official screenings.
Together and Apart: The Global Journey of Korean Female Creators
Director Seo Chaewon, a graduate of Sungkyunkwan University’s Department of Film and Visual Arts, has directed a variety of short films focusing on delicate and cheerful female narratives. Her notable works include 《Only Live Once》, which captures the concerns and solace of teenager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Unrequited》, which explores the flip side of a one-sided love; and 《Best Mom Ever》, which depicts the struggles of working moms.
She has also shown deep expertise in both commercial and artistic video production, having worked in the directing team of NewJeans’ official music videos (which garnered over 38 million views), the award-winning independent feature 《Plastic House》 at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Disney+’s acclaimed series 《Moving》, which won multiple Baeksang Arts Awards.
Writer Kang Yujin, revolving around the theme of “identity,” has worked across K-POP and global content. She has planned the narratives for music videos of major K-POP artists including NewJeans, NCT, and Miyao, and expanded her global presence by selling original scripts to U.S. short-form platforms.
In addition, she has proven both popularity and narrative power by scripting for a YouTube podcast series with 4 million subscribers, drawing empathy by exploring cultural boundaries and personal identity across various platforms.
- 다음글동두천 도서관 강의 (강사: 김형진, 손정현) 25.06.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